서울대학교 동양사학 학사를 졸업하였습니다. MBC에서 기자, 워싱턴 특파원, 뉴스데스크 앵커, 보도국 부국장으로 경력을 쌓았습니다.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장(전무)으로 자리를 옮긴 후, 삼성 미래전략실 부사장(커뮤니케이션팀장), 삼성 미래전략실 사장(커뮤니케이션팀장)을 거쳐 삼성전자 사장(커뮤니케이션팀장)을 역임하였으며 삼성전자 고문(사회공헌총괄)을 지낸 뒤 삼성전자 사장으로 CR 업무를 총괄해왔습니다. 이후 최근까지 삼성전자 고문을 지냈습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학사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프랑스 The Paris 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에서 석사, 프랑스 École Nationale d'Administration에서 ENA학위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 과장,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 국장, 금융정보분석원 원장을 지낸 후 법무법인(유) 율촌 고문으로 재직하였으며 NH 농협금융지주㈜ 회장, 전국은행연합회(사) 회장을 지냈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회계학과를 졸업하였습니다. 한국교직원공제회에 입사해 자금운용부 기업금융팀 팀장을 시작으로 금융사업부 투자전략팀 팀장, 경영지원부 재무관리팀 팀장, 대체투자부 기업금융팀 팀장 등 자금운용 주요 팀장 자리를 두루 거쳤으며 이후 감사실 실장, 경영지원부 부장, 기금운영전략실 실장으로 재직하였습니다. 최근까지 더케이저축은행 대표이사를 역임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사법학과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석사 과정을 수료한 후 미국 UPENN Law School에서 LL.M.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을 시작으로 창원지방검찰청 진주지청, 수원지방검찰청, 대검찰청 미래기획단,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1부, 대검찰청 공안부에서 검사로서 경력을 쌓아왔으며 창원지방검찰청 밀양지청장,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법무협력관을 거쳐 서울남부지방검찰청 형사6부와 창원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로 재직하였습니다. 이후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삼성전자 준법지원팀을 거쳐 삼성전자 북미총괄 법무지원팀장(전무)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삼성전자 법무실 부사장을 지냈습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Law에서 LL.M.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서울지방법원 의정부지원을 시작으로, 서울고등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광주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등에서 판사로서 경력을 쌓아왔으며 사법연수원 교수, 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 부장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으로 근무하였습니다. 이후 수원지방법원 영장전담 부장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쳐 최근까지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를 지냈습니다.
서울대학교 공법학과를 졸업하였습니다. 육군 법무관 복무 후 의정부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원,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판사로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이후 사법연수원 교수를 거쳐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공보관, 제주지방법원 부장판사, 인천지방법원 부장판사로 재직하였으며 최근까지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및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실 기획총괄심의관을 지냈습니다.
연세대학교 법학과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Gould School of Law에서 LL.M.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화우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공법학과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법무법인 서정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중국 Llinks Law Firm을 시작으로 중국 King & Wood Mallesons, Miraeasset China, Hanssem China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이후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지평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chool of Law에서 LL.M.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화우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화우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Georgetown University Law Center에서 LL.M.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화우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울산지방검찰청, 대구지방검찰청 김천지청,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서울동부지방검찰청을 거쳐 최근까지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 검사로 근무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 및 정치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법무법인 넥서스, 법무법인(유한) 태평양을 거쳐 최근까지 주식회사 컬리 사내변호사로 경력을 쌓았습니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최근까지 삼성생명보험 법무팀에서 사내변호사로 재직하였습니다.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육군 법무관으로 복무 후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바른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경제학, 통계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에서 자본시장조사국 조사기획팀을 시작으로 자본시장조사국 조사1팀 검사역을 지냈으며 기업공시국 구조화증권팀을 거쳐 최근까지 기업공시국 지분공시1팀 조사역으로 재직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법무법인(유한) 클라스를 거쳐 최근까지 법무법인(유한) 바른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법무법인 케이씨엘을 거쳐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지평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학과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최근까지 대통령비서실 비서실장실 법률비서관실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서울대학교 산업인력개발학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지평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리더학부 학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최근까지 법무법인(유한) 대륙아주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미국 Brigham Young University에서 인문학/영문학 학사를,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에서 인문학/미술사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University of Utah, S.J. Quinney College of Law에서 J.D.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미국 Parsons, Behle & Latimer, 일본 Nagashima Ohno & Tsunematsu을 거쳐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일본 Anderson Mōri & Tomotsune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에서 J.D.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미국 McDermott, Will & Emery LLP와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Financial Services에서 근무하였으며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유) 광장, 싱가포르 Jones Day을 거쳐 HD현대중공업 파견변호사, 법무법인 피터앤김에서 시니어 외국변호사로 재직 후 최근까지 SK에코플랜트㈜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았습니다.
캐나다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외교학 학사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교 법학부 학사(LL.B)를 졸업하였습니다. 캐나다 Baumgartel Gould 법률사무소에서 근무하였으며, 법무법인(유) 세종, 법무법인(유) 광장을 거쳐 최근까지 법무법인(유) 지평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미국 Duke University에서 심리학과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Columbia Law School J.D. 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베스핀글로벌을 거쳐 법무법인(유) 율촌에서 근무한 바 있으며 미국 Arnold & Porter Kaye Scholer 법률사무소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였습니다. 삼일회계법인 조세본부에서 근무하였으며 이후 최근까지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 조사관실에서 사무관으로 경력을 쌓았습니다.
최인석 변호사가 기획재정부가 지정한 공기업 경영평가단 위원으로 위촉되었습니다.
경영평가단은 공공성 및 경영효율성의 제고를 목적으로 공기업의 경영노력과 성과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구성됩니다. 최 변호사는 공기업 실적보고서에 대한 검토 등 경영평가는 물론, 경영개선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임형주 변호사가 제6기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습니다.
공공데이터분쟁조정은 국민이 공공기관을 상대로 복잡한 행정소송을 하지 않고, 조정절차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며 위원회는 행정안전부장관이 위촉한 공공데이터 및 데이터기반행정 전문가들로 구성됩니다.
김선희 변호사가 아시아 법률 전문지 ALB (Asian Legal Business)가 선정하는 아시아 지역 TMT 우수 변호사 (ALB Super 50 TMT Lawyers 2024)에 선정되었습니다.
본 리스트는 아시아 전체에서 우수한 TMT 변호사 50인을 선정하는 것으로 사내변호사 및 기업 법무팀 등의 고객 평가를 바탕으로 하며 한국에서는 2명만 선정되었습니다. 올해는 11개국에서 400명이 넘는 사내 변호사가 후보를 추천하였고 김선희 변호사는 3년 연속 선정되며 TMT 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IP & Technology 융합 부문 내 Data & Tech팀의 팀장으로 세계변호사협회 (International Bar Association)의 아태지역포럼 Vice Chair, 주한미국상공회의소 (AMCHAM)의 ICT Committee의 공동위원장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박지웅 변호사가 경기도 지방세심의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습니다.
지방세심의위원회는 과세전적부심사 및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 체납자의 체납정보 공개에 관한 사항,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의결하며 박 변호사는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지방세 관련 민원을 공정하게 심의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양선미 변호사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였습니다.
양선미 변호사는 행정안전부 정보공개심의회 외부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행정안전부가 보유·관리하고 있는 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유도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객관적이고 다양한 시각으로 정보공개심의회를 운영하여 행정의 투명성 확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을 받게 되었습니다.
정세진 변호사가 금융결제원 데이터전문기관 적정성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습니다.
적정성평가위원회는 금융회사의 데이터결합을 통한 가명·익명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해 구성되는 외부위원회로 기술 및 법률 분야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 변호사는 데이터의 가명처리 및 익명처리의 수준이 적정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정세훈 외국변호사가 'Who's Who Legal: Thought Leaders - Competition 2024'에 선정되었습니다.
'Who's Who Legal'은 영국의 법률 전문매체인 Law Business Research가 발간하는 법률지로, 세계 각국의 변호사와 고객을 대상으로 리서치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국가별, 분야별 우수 변호사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장재형 세무사가 한국세무학회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세무학회는 매년 세무학 발전에 기여한 분들을 위해 학술공로상, 우수학위논문상, 우수논문발표상 등을 시상하고 있습니다.
장 세무사는 지난 '2023년도 한국세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에서 장명원 고려대학교 박사과정과 함께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와 가공의 세금계산서의 구분 및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논문을 공동으로 발표한 바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에 대한 제재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등 그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아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습니다.